KBO 프로야구 1군과 2군의 차이점
컨텐츠 정보
- 72 조회
- 목록
본문

KBO 프로야구에서 1군과 2군은 선수들의 소속과 활동 무대에 따른 구분입니다.
1군 (1군 엔트리)
-
정식 프로 무대: KBO 리그의 정규 시즌 경기를 치르는 무대입니다.
-
엔트리 제한: 한 팀당 보통 28명의 선수가 등록됩니다 (시즌 중 변동 가능).
-
중계 및 관중 있음: TV 중계, 현장 관중 등이 동반되는 공식 경기입니다.
-
성적 반영: 팀의 시즌 성적 및 순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.
-
고참 & 주전 선수 다수 포함: 실력 있는 선수들이 주로 활동합니다.
2군 (퓨처스리그)
-
육성 및 리빌딩 무대: 신인, 재활 중인 선수, 경기 감각을 끌어올리는 선수들이 주로 뛸 수 있는 리그입니다.
-
엔트리 제한 완화: 상대적으로 더 많은 선수를 기용할 수 있습니다.
-
관중 및 중계 제한적: 일부 경기만 중계되며 관중도 적습니다.
-
성적보다 선수 성장 중점: 팀 성적보다 선수 개인 능력 향상에 중점.
-
1군 콜업 가능: 좋은 활약을 하면 1군으로 승격(콜업)될 수 있습니다.
1군 ↔ 2군 이동
감독 판단 또는 성적 부진/부상 등에 따라 선수는 2군에서 좋은 활약을 보이면 1군에 올라가 경제적 혜택도 커질 수 있고, 반대로 1군 선수라도 부진하면 2군으로 내려가 연봉 외 수당은 줄어들 수 있습니다.
한 번 1군에서 말소되면 10일간 재등록이 불가한 규정도 있습니다
구분 |
1군 |
2군 |
목적 |
팀 승리를 위한 실전 경기 |
선수 육성, 재활, 컨디션 조정 |
역할 |
주전 선수들이 뛰며 팀의 성적 책임 |
신인, 부상 복귀, 부진한 선수들 훈련 및 점검 |
중요도 |
팀 운영과 리그 성적에 직접 영향 |
장기적인 팀 전력 강화와 리빌딩 지원 |
감독/코치 |
1군 감독과 전술 중심 운영 |
육성형 코치와 기술 중심 지도 |
연봉 및 경제적 대우
1군 선수
-
연봉: 수천만 원 ~ 수억 원 (스타 선수는 10억 원 이상 가능)
-
수당: 경기 출장 수당, 승리 수당, 옵션 보너스 등 포함
-
복지: 호텔급 숙소, 전용 버스/항공 이동, 의료 지원 강화
-
스폰서 혜택: 광고 출연, 유니폼 스폰서 등 추가 수입 가능
2군 선수
-
연봉: 최저 연봉선 중심 (2024년 기준 KBO 최저 연봉: 약 3,400만 원)
-
수당: 1군 수당 없음, 일부 훈련 수당 지급 가능
-
복지: 숙소 제공되지만 간소화된 편 (합숙소 또는 지방 훈련장 숙소)
-
이동: 전세버스 이용, 지역 이동 중심
-
광고 기회: 거의 없음
항목 |
1군 |
2군 |
연봉 수준 |
높음 (수억 원 이상 가능) |
낮음 (최저 연봉선 수준) |
출장 수당 |
존재 (추가 수입 가능) |
없음 또는 소액 |
생활 여건 |
최고급 숙소, 의료, 식사 제공 |
기본적인 지원 수준 |
노출/광고 기회 |
많음 (미디어/광고) |
거의 없음 |

관련자료
-
이전
-
다음